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3-24 시즌에 대한 내용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2023-24 시즌 문서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2023-24 시즌번 문단을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2023-24 시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 펼치기 · 접기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3d4498> 일반 문서 ||
||<-2><bgcolor=#e3e3e3><width=25%> 구단 정보 ||<width=80%><-1>연고지 대구광역시모기업 한국가스공사 ||
||<-2><bgcolor=#e3e3e3><width=20%> 주요 인물 ||<-1><width=80%>구단주 최연혜감독 대행 강혁주장 차바위 ||
||<-2><bgcolor=#e3e3e3> 선수단 ||<-1>선수단 명단 ||
||<-2><bgcolor=#e3e3e3> 구단 역사 ||<-1>역사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
||<-2><bgcolor=#e3e3e3> 유니폼 ||<-1>역대 유니폼 ||
||<-2><bgcolor=#e3e3e3> 라이벌전 ||<-1>대구 더비 ||
||<-2><bgcolor=#e3e3e3> 논란 ||<-1>사건·사고 ||
||<-1><|2><bgcolor=#e3e3e3> 주요 시설 ||<-1><bgcolor=#3d4498> 홈구장 ||현재 대구실내체육관이전 인천도원체육관부천실내체육관인천삼산월드체육관 ||
||<-1><bgcolor=#3d4498> 클럽하우스 ||대구실내체육관 ||
||<-1><|2><bgcolor=#e3e3e3> 시즌 ||<-1><bgcolor=#3d4498> 현재 시즌 ||<-1>2023-24 시즌 ||
||<-1><bgcolor=#3d4498> 시즌 상세 ||<-1>컵대회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5라운드6라운드 ||
||<-3><bgcolor=#3d4498> 틀 문서 ||
||<-3> 역대 시즌역대 감독역대 주장역대 1라운더선수단응원단역대 응원단장 ||
||<-3><bgcolor=#fafafa,#191919> ||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Daegu KOGAS PEGASUS
정식 명칭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프로농구단
영문 명칭KOGAS PEGASUS Basketball Club
창단1994년 5월 23일(30주년)[1]
2021년 9월 27일(2주년)[2]
구단명 변천
[ 과거 구단명 펼치기 · 접기 ]
대우증권 실업 농구단 (1994~1996)
인천 대우증권 제우스 (1997~1998)
인천 대우 제우스 (1998~1999)[1]
인천 신세기 빅스 (1999~2001)
인천 SK 빅스 (2001~2003)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2003~2009)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2009~2021)
[1] 독립 법인으로 출범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1~ )
연고지 변천인천광역시 (1997~2021)
대구광역시 (2021~ )
운영 법인
[ 과거 운영 법인 펼치기 · 접기 ]
대우증권주식회사[A] (1994~1998)
주식회사대우제우스[1] (1998~1999)
주식회사신세기통신[A] (1999~2001)
에스케이텔레콤주식회사[2][A] (2002~2003)
주식회사전자랜드[A] (2003~2011)
주식회사에스와이에스리테일[3] (2012~2021)
[A] A B C D 별도의 독립 법인화 없이 모기업 법인에서 직접 운영했다. 한국프로스포츠협회에서는 그러한 형태의 구단을 '부서형 구단'으로 분류한다.[1] 별도 법인화[2] 2002년 1월 1일부로 기존 (주)신세기통신 법인이 SK텔레콤(주) 법인으로 합병되었다.[3] 법인명 변경
한국가스공사[A] (2021~ )
모기업한국가스공사
구단주최연혜
단장김병식
감독 대행강혁
주장차바위
구단 사무국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120 (신서동)[이전예정]
홈구장 변천인천도원체육관 (1997)
부천실내체육관[3] (1997~2006)
인천삼산월드체육관 (2006~2021)
대구실내체육관 (2021~ )
연습 체육관대구실내체육관[4]
클럽 하우스대구실내체육관
키트 스폰서STIZ
마스코트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마스코트.svg
페가수스
워드 마크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워드마크.svg
웹 사이트 및 소셜 미디어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팬 커뮤니티파일:네이버 카페 아이콘.svg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우승 기록
챔피언 결정전 우승 (0회)
정규 시즌 우승 (0회)
컵 대회 우승 (0회)
플레이오프 진출
[ 펼치기 / 접기 ]

챔피언 결정전
(1회 / 1패)
2018-19
4강 플레이오프
(6회 / 1승 5패)
2003-04, 2010-11, 2012-13, 2014-15, 2018-19
2020-21
6강 플레이오프
(15회 / 4승 11패 / 최다 진출)
1997, 1997-98, 1998-99, 2000-01 , 2001-02
2003-04, 2008-09,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6-17, 2017-18, 2020-21, 2021-22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704
2010-11 시즌 54경기 38승 16패
최저 승률.148
2005-06 시즌 54경기 8승 46패
최다 승38승
2010-11 시즌 54경기 38승 16패
최다 패46패
2005-06 시즌 54경기 8승 46패
최고 FA 계약4년 5억 5천만 원[1]
2023-24 시즌 이대헌

[1] 첫 시즌 연봉

1. 개요
2. 역사
2.1. 창단~2008-09 시즌
2.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시절
2.3. 한국가스공사의 인수
3. 시즌별 일람
4. 선수단
5. D리그
6. 역대 구단주
7. 역대 단장
8. 역대 감독
9. 역대 주장
10. 역대 유니폼
11. 역대 성적
11.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
12. 응원단
13. 사건 사고
14. 여담
14.1. 각종 기록
14.2. 신인 드래프트 잔혹사
1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BEYOND THE GAME

한국가스공사를 모기업으로 둔 한국프로농구의 프로 농구단. 연고지는 대구광역시로 홈구장은 북구 산격동에 위치한 대구실내체육관이다.

2020-21시즌을 끝으로 농구단 운영을 포기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를 인수해 2021-22시즌부터 참가하는 구단이다.

2. 역사[편집]



2.1. 창단~2008-09 시즌[편집]


파일:인천 대우 제우스 엠블럼.svg파일:인천 신세기 빅스.jpg파일:인천 SK 빅스 엠블럼.svg파일: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엠블럼.sv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시절[편집]


파일: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영문 엠블럼.svg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3. 한국가스공사의 인수[편집]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2021~2023).svg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워드마크(2021~2023).svg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프로농구단 출범 당시 엠블럼 (2021~2023)
모기업이었던 전자랜드가 20/21시즌을 끝으로 농구단 운영을 포기하기로 의사를 밝혀 2021년 5월 31일을 끝으로 팀을 매각을 위해 농구단을 공개 입찰하였고 매물로 나온 농구단을 한국가스공사[5]가 인수하여 6월 9일 인수협약식을 치루며 현재의 한국가스공사 농구단이 출범했다. 다만 연고 협상을 시작할 당시 가스공사가 경기장 신축을 약속했기 때문에 이를 이행하겠다는 약속을 하지 않으면 협상을 마칠 수 없다고 못 박았고, 반대로 가스공사 측에서는 이런 사실 자체를 부정하면서 양측의 협상은 석 달 넘게 미뤄지는 등 여러 차례 난항을 겪고 있으나, 9월 24일 최종적으로 대구광역시로 연고지가 확정되었다. 단, 대구광역시와 연고지 협약이 정식으로 체결된 것은 아닌 상태였다.

인수 당시 선수단, 코칭스태프는 고용이 승계되었으나 프런트는 고용 승계가 무산되어 가스공사 본사 직원과 기존 태권도팀 담당자 등으로 구성된 새로운 프런트를 구성했고 추후 외부 인력 보강을 하였다.

2021년 9월 27일 창단식을 가졌다. 유니폼 컬러는 창단 당시에는 구단 고위층의 의견으로 대구팬을 끌어모으기 위해 대구의 과거에 프로농구팀인 오리온스의 팀컬러인 빨간색[6]으로 결정되었고, 팀명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로 결정되었다. 마스코트는 팀명과 같이 페가수스 캐릭터이며 이름은 창단식 이후 대구 시민 공모전을 통해 페가수스로 채택 되었다.

2022년 6월 9일 보도에 대구시와 조만간 만나 연고지 협약에 대한 논의할 예정이라 밝혔고 당해 8월 17일 대구시청 실무진과 만난 협의를 진행,# 2022년 9월 15일 언론을 통해 19일 오후 3시에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에서 홍준표 대구광역시장, 유도훈 감독, 박영기 대구시 체육회장, 김동규 대구시 농구협회 회장 등이 참석해서 연고 협약식을 할 예정인 것을 알렸다.# 농구단이 대구로 온지 1여년만에 연고지 협약까지 완료했다.

KBL 2022-23 시즌이 끝난지 3개월이 된 2023년 8월 9일에 구단 측에서 새로운 엠블럼을 공개하였다.# 해당 엠블럼은 2023-24 시즌부터 적용됐다.


3. 시즌별 일람[편집]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시즌
(대우-신세기-SK빅스-전자랜드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19971997-981998-991999-002000-01
6위
6강
6위
6강
3위
6강
10위5위
6강
2001-022002-032003-042004-052005-06
4위
6강
7위4위
6강
4강
10위10위
2006-072007-082008-092009-102010-11
9위7위6위
6강
9위2위
4강
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
6위
6강
3위
6강
4강
4위
6강
6위
6강
4강
10위
2016-172017-182018-192019-202020-21
6위
6위
2위
5위5위
2021-222022-232023-242024-252025-26
6위
9위?위
: 우승: 준우승 | : 플레이오프 진출





4. 선수단[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선수단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3-24 시즌 선수단
||
[ 펼치기 · 접기 ]

감독 대행강혁
코치김상영 · 이찬영
스태프
국제 팀장
변영재 ·
수석 트레이너
최은호 ·
트레이너
이승엽 · 김하용 ·
매니저
공두현
가드0 안세영 · 1 양준우 · 4 김낙현 · 5 임준수 · 10 염유성 · 23 이원대 · 25 김태호 · 27 벨란겔 · 77 이도헌
포워드2 신승민 · 3 김진모 · 6 차바위
C
· 7 조상열 · 8 박지훈 · 11 양재혁 · 12 박봉진 · 21 이대헌 · 44 니콜슨
센터13 김동량 · 26 신주영 · 35 맥스웰 · 98 최주영
군 입대
2023년 입대
전현우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 우동현 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5. D리그[편집]


재정에서 어려운데도 불구하고 전신 전자랜드 시절부터 D 리그에 계속 출전해왔다. 전자랜드 시절의 마지막 D 리그 출전 시즌이었던 2020-21 시즌 2차 대회에서, 결승전에서 SK를 상대로 패하면서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한국가스공사의 인수 이후에도 D 리그에 계속 출전한다.


6. 역대 구단주[편집]


역대이름재임 기간비고
초대채희봉2021년 ~ 2022년한국가스공사 13대 사장
2대최연혜2022년 ~한국가스공사 14대 사장

모기업 특성상 3년마다 구단주가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7. 역대 단장[편집]


역대이름재임 기간비고
초대이승2021년 ~ 2022년한국가스공사 경영관리부사장
2대이민형2022년 ~ 2023년첫 선수 출신 단장
2022-23 시즌 이후 경질
3대김병식2023년 ~한국가스공사 홍보실장


8. 역대 감독[편집]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감독
(대우-신세기-SK빅스-전자랜드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074ca1><rowcolor=#ffffff> 초대 ||<#074ca1>
2대
||<#000000> 3대 ||<-2><#000000> 4대 ||
||<bgcolor=#ffffff><width=20%> 최종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1998) ||<width=20%><bgcolor=#ffffff> 유재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2004) ||<width=20%><bgcolor=#ffffff> 박수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5) ||<width=20%><bgcolor=#ffffff> 험프리스 파일:미국 국기.svg
(2005)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 대행
이호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06) ||
||<#000000><rowcolor=#fff> 5대 ||<-2><#ff7518> 6대 ||<-2><#ff7518>
7대
||
||<bgcolor=#ffffff> 최희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2009) ||<bgcolor=#ffffff> 박종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 대행
유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2010) ||<bgcolor=#ffffff> 유도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2023)
||<width=20%><bgcolor=#e0ffdb,#073300> 감독 대행
강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파일:강혁 2023-24.png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감독 대행
강혁
姜赫 / Kang Hyuk
(2023.6.1.~)

역대이름재임 기간경력비고
초대[7]유도훈2021년 ~ 2023년연세대 선수
현대전자-현대 다이냇/걸리버스 선수
현대 걸리버스-KCC 이지스 수석코치
LG 세이커스 수석코치
KT&G 카이츠 감독
전자랜드 시절 포함 구단 최장수 감독[8]
2022-23 시즌 이후 경질
대행강혁2023년 ~경희대 선수
삼성 썬더스 선수
전자랜드 엘리펀츠 선수
LG 세이커스 코치
전자랜드 엘리펀츠-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코치
KBL 파이널 MVP 출신
역대 최초 팀 선수 출신 감독


9. 역대 주장[편집]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주장
(대우-신세기-SK빅스-전자랜드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3d4498><bgcolor=#074ca1> {{{#ffffff 1997}}} ||<bgcolor=#074ca1> {{{#ffffff 1997~1999}}} ||<bgcolor=#cc3300> {{{#ffffff 1999~2001}}} ||<bgcolor=#cc3300> {{{#ffffff 2001~2003}}} ||<bgcolor=#000000> {{{#ffffff 2003~2004}}}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김성헌]] ||<width=20%> [[조성훈(농구인)|조성훈]] → [[정재헌(농구)|정재헌]] ||<width=20%> [[우지원]] ||<width=20%> [[문경은]] ||<width=20%> [[홍사붕]] → [[문경은]] || ||<bgcolor=#000000> {{{#ffffff 2004~2005}}} ||<bgcolor=#000000> {{{#ffffff 2005~2006}}} ||<bgcolor=#000000> {{{#ffffff 2006~2008}}} ||<bgcolor=#ff7518> {{{#ffffff 2008~2010}}} ||<bgcolor=#ff7518> {{{#ffffff 2010~2012}}}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문경은]] ||<width=20%> [[문경은]] → [[최명도]] ||<width=20%> [[김태진(농구)|김태진]] ||<width=20%> [[윤영필]] ||<width=20%> [[신기성]] || ||<bgcolor=#ff7518> {{{#ffffff 2012~2013}}} ||<bgcolor=#ff7518> {{{#ffffff 2013~2014}}} ||<bgcolor=#ff7518> {{{#ffffff 2014~2015}}} ||<bgcolor=#ff7518> {{{#ffffff 2015~2016}}} ||<bgcolor=#ff7518> {{{#ffffff 2016~2021}}}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강혁(농구)|강혁]] ||<width=20%> [[이현호(농구)|이현호]] → [[리카르도 포웰|포웰]] ||<width=20%> [[리카르도 포웰|포웰]] ||<width=20%> [[주태수]] ||<width=20%> [[정영삼]] || ||<bgcolor=#3d4498>
{{{#ffffff 2021~}}}
||<bgcolor=#3d4498> {{{#ffffff }}} ||<bgcolor=#3d4498> {{{#ffffff }}} ||<bgcolor=#3d4498> {{{#ffffff }}} ||<bgcolor=#3d4498> {{{#ffffff }}} || ||<rowbgcolor=#f7f7f7,#191919><bgcolor=#e0ffdb,#073300> [[차바위]] ||<width=20%> ||<width=20%> ||<width=20%> ||<width=20%> ||



파일:차바위2023-24.png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주장
차바위
Cha Bawi
(2021.6.30.~)


10. 역대 유니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유니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1. 역대 성적[편집]


챔피언 결정전 우승챔피언 결정전 준우승4강 플레이오프 진출6강 플레이오프 진출플레이오프 진출

통산 팀 성적
연도팀명순위전적승률플레이오프감독[9]
1997인천 대우증권
제우스
6위8승 13패0.3816강 플레이오프 패
vs. 원주 나래 블루버드 (2승 4패)
최종규
1997-986위22승 23패0.4896강 플레이오프 패
vs.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승 3패)
1998-993위27승 18패0.6006강 플레이오프 패
vs. 수원 삼성 썬더스 (1승 3패)
유재학
1999-00인천 신세기
빅스
10위15승 30패0.333-
2000-015위23승 22패0.5116강 플레이오프 패
vs. 안양 SBS 스타즈 (1승 2패)
2001-02인천 SK
빅스
4위30승 24패0.5566강 플레이오프 패
vs. 창원 LG 세이커스 (2패)
2002-037위23승 31패0.426-
2003-04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4위32승 22패0.5934강 플레이오프 패
vs. 원주 TG삼보 엑써스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서울 삼성 썬더스 (2승 1패)
2004-0510위17승 37패0.315-박수교
2005-0610위8승 46패0.148-제이 험프리스
2006-079위23승 31패0.426-최희암
2007-087위29승 25패0.537-
2008-096위29승 25패0.5376강 플레이오프 패
vs. 전주 KCC 이지스 (2승 3패)
2009-10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9위15승 39패0.278-박종천
2010-112위38승 16패0.7044강 플레이오프 패
vs. 전주 KCC 이지스 (1승 3패)
유도훈
2011-126위26승 28패0.4816강 플레이오프 패
vs. 부산 kt 소닉붐 (2승 3패)
2012-133위33승 21패0.6114강 플레이오프 패
vs. 울산 모비스 피버스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서울 삼성 썬더스 (3승)
2013-144위28승 26패0.5196강 플레이오프 패
vs. 부산 kt 소닉붐 (2승 3패)
2014-156위25승 29패0.4634강 플레이오프 패
vs. 원주 동부 프로미 (2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서울 SK 나이츠 (3승)
2015-1610위17승 37패0.315-
2016-176위26승 28패0.4816강 플레이오프 패
vs. 서울 삼성 썬더스 (2승 3패)
2017-186위29승 25패0.5376강 플레이오프 패
vs. 부산 KCC 이지스 (2승 3패)
2018-192위35승 19패0.648챔피언 결정전 패
vs.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1승 4패)
4강 플레이오프 승
vs. 창원 LG 세이커스 (3승)
2019-205위21승 21패0.500-[10]
2020-215위27승 27패0.5004강 플레이오프 패
vs. 전주 KCC 이지스 (2승 3패)
6강 플레이오프 승
vs.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3승 1패)
2021-22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6위27승 27패0.5006강 플레이오프 패
vs. 안양 KGC인삼공사 (3패)
2022-239위18승 36패0.333-
2023-24-위-승 -패0.000-강혁
KBL 통산 27시즌651승 726패0.473-



11.1. 역대 플레이오프 상대 전적[편집]


원주 DB 프로미1997 6강PO : 2승 4패
03-04 4강PO : 3패
14-15 4강PO : 2승 3패
6강PO 1패
4강PO 2패

개별 경기 합계 : 4승 10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97-98 6강PO : 1승 3패
12-13 4강PO : 3패
18-19 챔프전 : 1승 4패
6강PO 1패
4강PO 1패
챔프전 1패

개별 경기 합계 : 2승 10패
서울 삼성 썬더스98-99 6강PO : 1승 3패
03-04 6강PO : 2승 1패
12-13 6강PO : 3승
16-17 6강PO : 2승 3패
6강PO 2승 2패
개별 경기 합계 : 8승 7패
안양 정관장 레드부스터스00-01 6강PO : 1승 2패
21-22 6강PO : 3패
6강PO 2패
개별 경기 합계 : 1승 5패
창원 LG 세이커스01-02 6강PO : 2패
18-19 4강PO : 3승
6강PO 1패
4강PO 1승

개별 경기 합계 : 3승 2패
부산 KCC 이지스08-09 6강PO : 2승 3패
10-11 4강PO : 1승 3패
17-18 6강PO : 2승 3패
20-21 4강PO : 2승 3패
6강PO 2패
4강PO 2패

개별 경기 합계 : 7승 12패
수원 kt 소닉붐11-12 6강PO : 2승 3패
13-14 6강PO : 2승 3패
6강PO 2패
개별 경기 합계 : 4승 6패
서울 SK 나이츠14-15 6강PO : 3승6강PO 1승
개별 경기 합계 : 3승
고양 소노 스카이거너스20-21 6강PO : 3승 1패6강PO 1승
개별 경기 합계 : 3승 1패

12. 응원단[편집]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2023-24 시즌 응원단
||
[ 펼치기 / 접기 ]
응원단장장내 아나운서
이범형문싱글
치어리더 (위너스)
이유미★ · 최지인 · 박은혜 · 최수현 · 이서연 · 박사라 · 이수빈 · 이유경 · 이의진 · 한혜원




13.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1년 중반까지의 사건사고에 대한 내용은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사건사고 문서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사건사고번 문단을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사건사고#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여담[편집]






14.1. 각종 기록[편집]


전신인 대우 시절에는 유재학 감독 시절, 6강 플레이오프 진출만 하여 6강 전문팀이라는 이미지가 강했다. 그러다가 2003-04 시즌에 4위를 차지하고, 플레이오프 4강을 차지하며 그 숙원을 풀었으나, 유재학 감독이 울산 모비스 피버스로 이적하고 그 자리에 박수교 감독이 오면서 막장농구의 신화를 써내려가기 시작한다.[18]




















14.2. 신인 드래프트 잔혹사[편집]


뭔가 이상하게 신인 지명에도 운이 없어서, 드래프트 때마다 좋은 선수가 나오면 4번픽을, 흉작일때는 1번픽을 뽑는 걸로도 유명하다.

김승현이 나온 2001년 드래프트에서 4순위가 걸려 이현준 지명[39], 전자랜드의 고질병인 빅맨 문제를 해결해 줄 하승진, 김민수, 윤호영이 나온 2008년 드래프트에서 4순위가 걸려 정영삼과 롤이 겹치는 강병현 지명[40]. 그리고 이는 역대급 풍년이라 일컬어지는 2011년 드래프트에서도 여지없이 증명되었다.[41][42]

2006년 드래프트 1순위로 전정규를 뽑았지만 별 다른 활약을 하지 못하고 신인상을 이현민에게 넘겨줬다.

2009년 드래프트는 역대급 망드래프트로 손 꼽히는 해였는데 1순위로 박성진을 뽑고 구단 첫 신인상을 받았지만 현재는 그냥 예전만도 못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13년 드래프트에서는 8번픽을 뽑음으로서 개그랜드로서의 명성을 더욱 드높였다. 물론 이전 시즌 순위가 3위였기에 정상적인 결과였지만. 동일한 1.5% 확률을 할당받은 삼성이 4번픽을 뽑아서 박재현이란 대어를 데리고 간 것과 대조된다. 2013-14 시즌에는 문태종의 이적과 구단 매각설 등이 겹치며 암울한 성적이 예상되는데, 하필이면 2014년 드래프트부터 3~10위에 동일한 12.5%의 로터리픽이 할당되는 것으로 규정이 변경되었다.[43] 이쯤 되면 하늘이 버린 구단이다. 하지만 6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고 그럼에도 똑같은 확률을 받았으니 이번엔 안 버린 것일 수도.....

2014년 드래프트에서는 3번픽을 뽑았다. 1, 2위팀을 제외한 8개팀이 모두 동일한 확률로 진행되는 행사이기에 혹시 8번을 뽑는 거 아니냐는 우려도 있었지만 나름 선방한 줄 알았는데..... 그러나 하필 이승현, 김준일 2파전이라고 불린 드래프트에서 3순위가 걸린다.[44]

2015년 드래프트에서는 2번픽을 뽑아 당해 드래프트 최대어 문성곤에 버금간다는 한희원을 뽑았다! 그런데 하필 요번 드래프트가 역대급 망픽으로 손꼽히는 지라.... 흉1풍4는 그대로 간다. 심지어 그마저도 박찬희와 트레이드했지만 한희원이 KGC-kt에서의 성장이 워낙 느려서 오히려 신의 한 수로 평가받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드래프트 전에 '대어가 없다' 소리가 나오면 최고의 픽순위, BIG2라고 하면 3순위, BIG3라고 하면 4순위가 얻어 걸리는 셈이다. 절묘하게 커트라인에 걸리지만 겉으로 보기엔 픽순위 자체는 좋으니 신인픽 징크스가 없는 팀처럼 보이는 착시가 일어나기도...

하지만 이종현, 최준용, 강상재 등 소위 BIG3가 나오는 2016년 드래프트에서 마침내 3번픽을 뽑아 그간의 드래프트 잔혹사를 극복하고 강상재를 지명하는 데 성공하였다!
게다가 이종현, 최준용은 잘하기는 한데 부상으로 인해 골골대는 반면 강상재는 꾸준히 제 몫을 해주고 있다. 이후 강상재는 박찬희와 함께 2021-22 시즌 트레이드되어 원주DB로 이적했다.

2017년 역대급 흉작인 외국인 드래프트에서는 2픽(삼성이 1픽이지만 2명 모두 재계약으로 인해 사실상 1픽),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6번픽을 뽑았다. 2번 모두 1.5% 확률을 가진 삼성보다 후순위가 나왔다. 반면에 kt는 외국인 드래프트는 6(LG는 8픽)픽이 나왔으나 신인 드래프트에서 1,2픽을 모두 먹으면서 드디어 잔혹사를 끊었다. (2픽은 LG가 나왔다.)

대어가 적어 드래프트 뎁스가 낮은 2018년 드래프트에서는 직전 시즌 6위로 시즌을 마쳤지만[45] 드래프트에서 6순위에 그치고 만다. 그나마 확률이 더 높은 7위 삼성보다 상위픽이 걸렸고 3순위 안에 지명될 줄 알았던 전현우를 지명했다는 점이 위안이다.[46]

한국가스공사 이름을 달고 처음 참가하는 2021년 드래프트에는 대어급 신인들이 꽤 많았지만 8번픽을 뽑았다.[47][48] 앞서 언급했던것처럼 대어급 신인이 많았던 드래프트라서 연세대 신승민을 뽑아 뒷순번치고는 선방했다는 평가다.

2022년 드래프트에서는 지난 시즌 6위로 나쁘지 않은 확률로 추첨에 들어갔지만 8순위로 지명했다.

22/23시즌 9위로 마감하며 문정현, 박무빈, 유기상의 BIG 3가 있는 2023년 드래프트에서 로터리픽을 기대했지만 순위추첨에서 5순위로 배정받으며 다시 한번 잔혹사를 썼다.


15. 둘러보기[편집]


파일:한국가스공사 로고.svg 스포츠단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문서의 r112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전신인 대우증권 실업 농구단의 창단 연도[2] 인수 후 창단식 일자[A] [이전예정] 대구광역시 북구 대구체육관로 39 (산격동) 대구실내체육관 외부시설인 역도관을 리모델링하여 이전예정이다.[3] 1997년 원년 시즌 홈구장으로 썼던 인천도원체육관의 환경이 심각하게 열악했고 마침 바로 옆 부천시새로운 체육관이 문을 열면서 9년간 부천실내체육관을 홈구장으로 썼다. 전자랜드가 인천으로 복귀한 후에는 신세계 쿨캣 여자농구단광주광역시에서 부천시로 연고지를 옮겨와서 현재까지 WKBL 하나원큐 농구단 경기가 열리고 있다. 한편 부천실내체육관인천삼산월드체육관 모두 인천과 부천의 경계지점에 있어서 두 지역 팬들의 상호 접근이 쉽다.[4] 대구실내체육관에 다른 행사가 있어 피치못하게 대관하지 못하는 경우엔 대구은행 제2본점 체육관을 대관하여 훈련한다.[5]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정책에 따라 2014년 본사를 대구광역시 동구 신서혁신도시로 이전[6] 정식으로 정해지지 않았던 컵대회에서 쓴 파란 유니폼에 대한 팬들의 의견이 많은 걸 수용해 시즌 중 서드로 정식 출시하고, 2022년 6월에 구단 SNS를 통해 유니폼 투표를 진행을 해서 한 시즌만에 파란색으로 바꿨다. 빨간색은 서드 컬러로 강등되었다.[7] KBL 공식 홈페이지에서 초대 감독으로 언급되어 있다. SSG 랜더스의 사례 같이 창단일 기준으로 역대 감독은 승계하지 않는다. 여담으로 전신 팀까지 모두 이으면 7대 감독이다.[8] 감독 대행 포함 전자랜드 때부터 14년 감독직을 맡았다. 이는 현대모비스를 18년 동안 맡았던 유재학에 이어 장기 집권 2위의 기록이다.[9] 시즌 개막 기준.[10] 플레이오프 미개최[11] 다른 종목에도 유사한 사례가 있다. 똑같이 인천광역시를 연고로 했던 삼미 슈퍼스타즈, 청보 핀토스, 태평양 돌핀스, 현대 유니콘스가 그 예. KBL 초기의 나골코도 비슷한 예로 볼 수 있겠지만 이 쪽은 연고지를 광주-군산-여수-부산으로 여러 번 옮겨다닌 사례다.[12] 원주 DB는 팀 명칭을 나래-삼보-TG-TG삼보-동부-DB로 총 6번 바꾸었는데, 모기업의 변경 때문이었던 전자랜드와는 달리 '모기업의 이름'이 자주 바뀌면서 이렇게 된 것이다. 부산 kt의 이력은 나산-골드뱅크-코리아텐더-KTF-kt로, 모기업이 바뀐 사례는 3번이었다. 한국가스공사의 이력은 대우-신세기-SK-전자랜드-한국가스공사로 5번 바뀌었다.[13] 공교롭게 세 팀 모두 현대모비스(2007년 kt 3승 4패, 2014년 LG 2승 4패, 2019년 전자랜드 1승 4패)를 넘지 못했다.[14] 즉 상위권이면 올라가고 바닥권이면 내려가는 팀의 흐름을 볼 수 있다.[15] 제이 험프리스가 감독 대행이 되어 한 자릿수 승리를 기록한 채 사임한다.[16] 마침 두 팀 다 모기업이 공기업이며, 스폰서가 하나은행이라는 공통점이 있다.[17] KBL에는 1997년 동양 오리온스가 대구를 연고로 창단했다가 2011년 경기도 고양시연고지 이전을 감행한 역사가 있다. 반면 WKBL은 2001년 리그 출범 후 대구나 경북을 연고로 했던 팀이 단 한 곳도 없다. 아울러 V-리그에서는 남자부 KB손해보험 배구단이 전신 LG화재와 LIG손해보험 시절인 2005년부터 경상북도 구미시를 연고로 삼았으나 2017년 경기도 의정부시로 연고지를 옮겼다.[18] 그 와중에 전 구단 상대 승리로 자존심을 챙겼다. 꼴찌 팀이 전 구단 상대 승리한 사례는 00-01 모비스, 04-05 전자랜드, 16-17 KCC, 19-20 오리온, 20-21 LG가 전부이다.[19] 홈 성적은 3위를 했던 2012-13 시즌(13승 14패)보다 더 좋았으나, 원정 성적이 막장이었다. 02-03 SK 나이츠, 12-13 KCC는 물론, 17-18시즌 kt와 05-06시즌 전자랜드마저 깨지 못한 3승 24패. 참고로 05-06시즌에는 홈과 원정에서 똑같이 4승 23패를 거뒀다.[20] 단, 그 당시에는 KBL이 한 시즌 45경기였다.[21] 이후 고양 오리온이 2009-10 시즌, 2010-11 시즌, 서울 삼성이 2021-22 시즌, 2022-23 시즌 2년 연속 꼴찌를 했다.[22] 기존 기록은 3점으로 총 3번 있었는데, 공교롭게도 두 번이나 전자랜드가 상대를 3점으로 막았다.[23] 이 경기는 KCC가 전자랜드를 상대로 1쿼터 3:23으로 시작했고, 끝내 30점차로 KCC가 대패했다.[24] 다른 한 번은 창원 LG로, 2021-2022 시즌에 기록했다. 참고로 이 경기는 LG가 역대 최소 득점 타이기록까지 동시에 썼다.[25] 이후 전자랜드-가스공사 프랜차이즈 최고의 성적을 거두었던 2018-19 시즌에 SK는 24경기 2승 22패 구간을 만들었고 결국 9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26] 상대전적으로는 KT&G에 4승 2패로 앞섰다.[27] 그 시즌 압도적인 격차로 1위를 했던 동부마저도 홈경기 전적이 18승 9패였다.[28] 대신 이 때 역시 LG는 2007-08 시즌의 전자랜드와 동일한 홈/원정 성적을 거두었지만 결국 5위로 올라갔고 이번에는 KT&G가 피해를 봤다.[29] 1, 2위인 SK와 모비스도 당시 원정 성적이 19승 8패였다.[30] 참고로 이 기록은 2022-2023 4강 플레이오프 안양 KGC인삼공사가 고양 캐롯 점퍼스를 상대로 99-43 56점 차 승리를 하며 깨지게된다[31] 종전 기록은 2013년 10월 15일 모비스가 KCC를 상대로 낸 43점으로 당시 결과는 101-58이었다.[32] 파일:external/ext.fmkorea.com/6220af03889a346a28aefab386ca0d54.png
이 경기 종료 직전 스코어 자막과 상대팀 이상민 감독의 나라 잃은 표정이 합쳐진 애처로운 짤이 한동안 유명했다. 구글에서 '이상민 극한직업' 이라고 검색하면 나온다. 짤에 붙는 발언으로는, "하아... 조작도 이렇게는 못하겠다. XX놈들아''
[33] 이전까지 가장 최근 기록은 2005-06 시즌 대구 오리온스로 3위 원주 동부를 2승 1패로 잡아내고 4강에 올라갔다.[34] 가스공사의 역대 플레이오프 시리즈 승률은 5승 15패로 .250이다.(삼성 2회, 오리온, LG, SK 1회 승리) 10개구단 중 승률이 꼴찌로 25회 중 14번 진출해 절반이상 진출했어도 낮은 승률이다.[35] 사례를 들자면 초창기 부산 기아 앤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2001년까지 있다가 모비스에 인수되어 울산으로 홈 구장을 옮기었고 대전 현대 걸리버스가 2001년 대전에서 전주로 옮기며 KCC로 구단명이 바뀌었고 광주 나산이 여수 골드뱅크- 코리아텐더로 이름 변경 후 부산으로 연고를 옮기면서 2003년에 KTF(KT 계열)가 되어 현재 kt에 이르게 되었다. 2021년 kt는 부산에서 수원으로 연고지를 옮겼다.[36] 여담이긴 한데 챔프전 7회 우승의 현대모비스, 5회 우승의 KCC처럼 명문구단이 되고자 하는 가스공사의 의지가 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대우증권 시절의 구단명이 제우스인 것을 생각하면 돌고 돌아서 22년 만에 다시 그리스 로마 신화와 관련된 구단명으로 돌아온 셈이다. 사실 KBL의 경우 역대 구단 역사를 찾아봐도 단수 구단명을 쓴 케이스가 상당히 많은 편.[37] 박수교 최희암 감독은 모비스에 있다가 전자랜드에 갔고, 유재학 감독은 전자랜드에 있다가 모비스에 갔다.[38] kt의 경우 2002년 8월 20일에 민영화가 되었으며 KGC인삼공사는 공기업으로 생각되기 쉽지만, 2005년부로 민영화되어 민간기업이 되었다. 다만 SBS로부터 KT&G가 구단을 인수했을 당시, KT&G는 kt와 마찬가지로 2002년에 민영화가 되었다.[39] 그리고 이현준은 루키 시즌을 치르기도 전에 KCC로 트레이드되었다.[40] 다만 결과적으로 강병현이 시즌 중반에 팀과 마찰을 겪고 있던 KCC서장훈과 트레이드되면서 빅맨 문제가 한 번에 해결되고 바닥을 기던 팀이 플옵에 가고 이듬해에 정규시즌 2위를 차지하는 등 짧은 부흥기를 맞는다. 사실 서장훈이 노장이라 몇 년 못 써서 그렇지 당시 그의 실력이면 하승진은 몰라도 김민수윤호영이 비빌 데가 못 된다.[41] 1~3픽이 오세근, 김선형, 최진수, 그리고 전자랜드는 4픽이 걸리며 함준후를 뽑았다. 오세근은 MVP급 활약을 뿜어내고 있고 김선형SK 나이츠를 이끌다시피 하고 있으며 최진수오리온스도 살아나고 있는데 함준후는...[42] 그래도 2016년 함준후를 서울 SK에 있던 이대헌과 트레이드하며 젊은 빅맨 수혈에 성공하긴 했다.[43] 그전 시즌 몇몇 구단들이 대학 최대어 김종규를 잡기 위해 고의로 패배하여 6강 플레이오프 진출을 회피하면서 논란이 생겼기 때문.[44] 그래도 높이도 있고 기동력에 수비적극성도 꽤 좋은 정효근은 현재 전자랜드에서 없으면 안되는 존재가 되었다.[45] 안양 KGC인삼공사와 공동 5위지만 상대전적에서 밀렸다.[46] 이로써 전자랜드는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번 연속 1라운드 지명 선수를 고려대 출신을 뽑았다. 강상재, 김낙현, 전현우[47] 시즌 직전에 핵심 전력인 정효근이 부상으로 시즌아웃 판정이 나서 빅맨 수급이 절실한 상황이었다.[48] 이 드래프트는 1순위 삼성을 제외하고, 2~4픽은 모두 플레이오프 진출 세 팀이 로터리픽을 가져갔다. 그 와중에 혼자 꽝 걸렸다

관련 문서